OAK Repository

Metadata Downloads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에너지 효율’ 법제와 정책 - EU 디렉티브와 프랑스를 중심으로 -

Part Name
연구논문
Title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에너지 효율’ 법제와 정책 - EU 디렉티브와 프랑스를 중심으로 -
Alternative Title
Le Régime juridique et les politiques relative à l’efficacité énergétique pour l’adaptation au changement climatique
Author(s)
김지영
Affiliation
대구대학교
Publication Year
20-Dec-2016
Citation
법제연구, Vol. 51 Page. 321-365, 2016
ISSN
1226-3664
Publisher
한국법제연구원
Keyword
기후변화대응; 에너지 효율; 에너지 절약; 프랑스 행위 계획(PNAEE); 녹색성장을 위한 에너지 전환법
Type
Article
Language
kor
URI
https://www.klri.re.kr:9443/handle/2017.oak/7089
Abstract
기후변화의 대응은 UN과 EU에서 시급한 당면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에너지 의존성에 기인한 온실가스배출량의 급증은 지구온난화를 야기하였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재생에너지의 개발 및 사용증대와 에너지 절약은 중요한 두 가지 정책적 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EU의 디렉티브를 분석해 보면, 초기에는 에너지효율의 직접적 달성수단이 구체화되어 있지는 않고, 다만 전자제품 및 자동차 등에 있어서 에너지의 효율 표시에 관한 사항을 주로 규율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소비효율이 높은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간접적 접근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이후의 디렉티브는 법적 구속력을 확보하는 방향과 함께 영역별이 아닌 전체 에너지 사업에서 에너지 효율 달성을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EU는 에너지 절약 분야에 있어서 재생에너지 관련 디렉티브에서와 마찬가지로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식은 개별회원국에 유보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이는 “EU 기능에 관한 협약(Traité sur le fonctionnement de l’Union europénne: TFUE,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TFEU)” 제4조 및 제194조에 있어서 개별회원국의 에너지 주권을 인정한 것이고, 전략적 목표의 달성을 위한 수단은 회원국의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에너지 절약과 관련한 EU 디렉티브의 국내법적 전환에 있어서 프랑스의 경우에는 3단계의 입법추진과정을 거쳤다. 제1단계는 2005년 ‘에너지정책법(소위 ‘POPE’법)’의 제정이다. 2005년 에너지정책법은 일종의 ‘계획법’인 프로그램법으로 에너지 효율 및 절약이 에너지 정책의 주요 목표임을 확인하고, 국가의 에너지 전략에 대한 수립 근거를 마련하였지만, 법적 구속력은 부인되었다.
제2단계의 에너지 절약 법제는 2008년 “기후-에너지 패키지(Paquet climat-énergie)”의 일환으로 제정된 “환경그르넬 적용에 관한 2009년 8월 3일 법률(소위 그르넬 1법)”과 “환경을 위한 국가의 의무에 관한 2010년 7월 12일 법률(소위 그르넬 2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동법의 제정을 통해 에너지 절약 관련 규정들은 각 영역별 법전, 즉 에너지법전, 지방자치법전, 도시계획법전에 편입됨으로써 법적 구속력이 부여되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제3단계는 2014년 EU의 “기후-에너지 2030(énergie-climat 2030)”상에서 강화된 규정을 반영하여 “녹색성장을 위한 에너지 전환법(loi n°2015-992 du 17 aoû̂t 2015 relative à la transition énergetique pour la croissance verte)”을 제정하여 에너지 효율개선을 보다 강화하였다.
결론적으로 에너지 효율달성을 통한 에너지 절약에 있어서 EU와 프랑스의 법제를 고찰해 보면, 비교법적으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현행 우리법제에서는 여전히 에너지 절약과 재생에너지의 사용은 행정부의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아니고, 이러한 정책들의 이행에 있어서도 개별법에 근거조문들이 산재해 있어서 에너지 수요 및 공급의 전체적인 측면에서 계획의 수립과 구체적 이행수단이 결여되어 있는 실정이다. EU와 프랑스의 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재생에너지의 사용과 에너지 절약의 달성은 국가에게 의무만을 부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산업의 동력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법제의 정비와 정책의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La luttre contre le changement climatique est une priorité d’ONU et EU. En ce point de vue, l’efficacité énergétique et les énergies renouvelable sont des alternatives aux combustible fossiles qui contribuent à réduire les émmissions de gaz à effet de serre, en diversifiant l’approvisionnement énergétique et en réduisant la dépendance vis-à-vis des marchés des combusibles fossiles.
Au début des directives de l’efficacité énergétique, elles n’ont pas des obligations juridiques, mais elles ont adopté des mesures indirectives. Au fur et à mesure d’augmentation des menaces dues au changement climatique, les directives européennes fixent non seulement des règles juridiquement contraignantes pour État membre, mais elles obligent Etat membre à regrouper tous mesures dans mê̂me objectif.
L'article 194 du TFUE fait de certains domaines de la politique de l'énergie une compétence partagée, ce qui constitue une évolution vers une politique commune de l'énergie. Chaque État membre conserve toutefois son droit « de déterminer les conditions d'exploitation de ses ressources énergétiques, son choix entre différentes sources d'énergie et la structure générale de son approvisionnement énergétique ». En ce domaine, les États membres sont libres d’adopter des mesures relatives à l’efficacité énergétique.
En ce qui concerne l’efficacité énergétique, la Fance a adopté trois étapes de législations: en premier étapes c’est l’adoption de «Loi de programmation fixant les orientatipons de la politique énergétique(loi POPE)». Cette loi fixe quatre grands objectifs qualitatifs accompagnés de moyens propres à les mettre en œuvre. Ainsi, elle vise à contribuer à l’indépendance énergétique nationale et garantir la sécurité d’approvisionnement, à assurer un prix compétitif de l’énergie, à préserver la santé humaine et l’environnement et à garantir la cohésion sociale et territoriale en assurant un accès à l’énergie pour tous.
En deuxième étape c’est l’adoption de la loi 2009-967 du 3 aout 2009 relative a la mise en oeuvre du Grenelle de l’environnement et loi du 12 juillet 2010 portant engagement national pour l’environnement. La première a dressé des objectifs sectoriels. La seconde a permis d’harmoniser et de décliner les outils de planification aux différentes échelles du territoire. Elle a également renforcé les chantiers d’amélioration de l’efficacité énergétique.
En troisième étape, c’est l’adoption de loi n°2015-992 du 17 aoû̂t 2015 relative à la transition énergetique pour la croissance verte. Cette loi visent à permettre à la France de contribuer plus efficacement à la lutte contre le dérèglement climatique et de introduire l’obligation faite par énergie-climat 2030.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