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Repository

Metadata Downloads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희-
dc.date.accessioned2018-12-14T16:45:57Z-
dc.date.available2018-12-14T16:45:5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urihttps://www.klri.re.kr:9443/handle/2017.oak/4845-
dc.description.abstractⅠ. 연구 목적과 방법
□ 현대의 법규범은 양적인 증가와 내용적인 전문화 뿐 아니라, 질적인 효과성까지도 요청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청에 대응하여 입법의 사전?병행?사후의 모든 과정에 걸쳐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입법평가가 주목 됨
□ 입법평가 방법론의 하나로서 규범분석을 검토하고, 구체적인 적용사례의 리뷰를 통해 규범분석의 평가요소들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함. 규범분석의 개념을 확립하고 구체적인 사례의 적용방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다만 연구의 범위는 기존의 입법학 이론에서부터 사례까지 대상으로 하고, 연구방법 또한 지금까지의 주요한 연구내용을 리뷰 하는 것으로 제한하고 있음을 밝힘


Ⅱ. 주요 내용
□ 질서유지 목적과 형식적 적용과 해석이라는 전통적인 법학 방법론과는 달리, 규범분석은 사회적 가치이념을 조정하는 수단이자 규범의 내부적 구조와 법적 논증의 실질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방법의 하나임
□ 규범분석은 평가의 기준에 따라서 실시되는데, 법합치성을 기준으로 체계성, 친숙성을 기준으로 법적 안전성과 이해가능성, 적용적합성을 기준으로 법적 실행가능성 등을 판단할 수 있음
□ 입법평가는 입법의 모든 단계에 걸쳐서 실시될 수 있는 바, 규범분석 또한 사전, 병행, 사후적인 단계에서 규범분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임
□ 지금까지 규범분석을 활용한 주요 연구사례들을 선정하여 유형화를 시도함. 한국 규범분석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평가범주, 평가기준, 세부적 평가요소 등의 기준을 제시함
□ 평가의 범주는 법률의 내부적 체계와 다른 규범들과의 체계범주로 크게 나뉨. 내부적 체계성의 범주에서는 평가 기준으로 목표달성, 법적합성, 명확성, 친숙성을 두고 있음. 다른 법률과의 범주에서는 수직적 그리고 수평적 체계성을 평가기준으로 두고 있음


Ⅲ. 기대효과
□ 입법평가의 방법론 또는 분석기법으로서 규범분석을 연구함으로써, 규범분석의 개념과 범위 그리고 평가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임
□ 규범분석의 사례를 통해 분석의 범주에 따른 평가기준과 평가요소들을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음
-
dc.format.extent12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법제연구원-
dc.subject.classification입법-
dc.title입법평가 Review를 통한 재정립 방안 연구-
dc.title입법평가 방법론 1 : 규범분석론-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Review of Legislative Evaluation -
dc.typeResearch Report-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경희-
dc.contributor.localId2003602-
dc.identifier.localId56813-
dc.rights.accessRights원문무료이용-
dc.subject.keyword입법평가-
dc.subject.keyword입법평가 방법론-
dc.subject.keyword입법평가기준-
dc.subject.keyword입법평가요소-
dc.subject.keyword규범분석-
dc.subject.keyword규범체계성-
dc.subject.local입법평가-
dc.type.local입법평가 연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Kyung-He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이경희-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15
제1절 연구의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6


제2장 규범분석의 개념과 범위 19
제1절 규범분석의 개념 19
제2절 규범분석의 범위 23


제3장 규범분석의 평가기준 27
제1절 개 요 27
제2절 법합치성 : 체계성 29
제3절 친숙성 : 명확성과 이해가능성 35
제4절 적용적합성 : 법적 실현가능성 41


제4장 평가단계별 규범분석 45
제1절 개 요 45
제2절 사전적 입법평가단계의 규범분석 47
제3절 병행적 입법평가단계의 규범분석 54
제4절 사후적 입법평가단계의 규범분석 59


제5장 규범분석의 주요 사례 69
제1절 개 요 69
제2절 관광진흥법에 관한 입법평가 70
제3절 토양환경보전법에 대한 입법평가 82
제4절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안)에 대한 입법평가 연구 91
제5절 국민기초생활보장법과 긴급복지지원법상의 빈곤층 지원체계에 대한 입법평가 101
제6절 학교폭력예방법의 체계정당성 평가 109


제6장 결 론 113
제1절 규범분석의 평가요소 113
제2절 규범분석 사례의 비교?검토 119
제3절 입법평가 방법으로서의 규범분석의 가능성과 한계 122


참고문헌 125
-
dc.relation.isPartOf입법평가 연구, 13-24-5-6-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