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Repository

Metadata Downloads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기령-
dc.date.accessioned2018-12-14T16:38:55Z-
dc.date.available2018-12-14T16:38:5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isbn9788966846481-
dc.identifier.urihttps://www.klri.re.kr:9443/handle/2017.oak/4279-
dc.description.abstractⅠ. 배경 및 목적
□ 2015년 4월, 상쇄배출권이 한국거래소 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기 시작함
○ 상쇄프로그램의 배출권거래시스템 편입되어 1KCU가 1KAU와 동일한 단위로 거래됨
○ 정체 상태에 있는 배출권 거래량 증대를 기대함
□ 우리 배출권거래제에서 상쇄배출권과 할당배출권이 시장에서는 동등한 가치로 거래될 수 있으나, 각 배출권의 발생기원 및 특성, 배출권의 전환 등에 있어 상쇄배출권과 할당배출권은 다른 연원에서 시작됨
○ 할당배출권은 배출총량 결정 및 할당계획에 따라 할당받은 배출권을 의미함
○ 상쇄배출권은 배출권거래제에서 할당배출권에 대한 보충적 연계역할을 수행함


Ⅱ. 주요 내용
□ 상쇄배출권의 특징
○ 상쇄배출권은 정부로부터 인증받은 온실가스 상쇄사업을 수행하고, 해당 사업 수행의 결과에 따라 감축한 온실가스 상쇄분을 인증받은 후 이를 등록부에 기재하고 상쇄배출권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함
-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자발적인 사업 수행 및 자발적 탄소상쇄활동과의 비교
○ 상쇄사업 운영 및 상쇄배출권 거래제도 운영과정의 핵심 법제상의 쟁점 : 인증
- 상쇄사업에 대한 인증, 사업 후 감축분에 대한 인증 등 상쇄사업이 상쇄배출권으로 연계되기 위해서는, 사업 수행 및 실적에 대한 정부 및 전문가집단의 인증과정이 필수적으로 전제됨
- 인증과정을 거쳐 상쇄분에 대한 크레딧(credit)을 부여하고 이를 등록부에 기재하여 거래소에 상장함
□ 상쇄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해외 입법례 비교 분석
○ EU-ETS의 상쇄 크레딧 운영
○ RGGI의 상쇄프로그램 운영
□ 할당배출권과의 비교
○ 법적 본질 및 재산권적 성격에 대한 할당배출권과 상쇄배출권 비교
○ 국가할당계획과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분 인증절차의 비교
○ 할당배출권과 상쇄배출권의 조정?취소 단계에서 발생하는 법적 쟁점 비교


Ⅲ. 기대효과
□ 배출권거래제도의 양대 축인 상쇄배출권과 할당배출권의 비교 분석을 통한 향후 운영상의 시사점 도출
○ 상쇄분 인증 및 배출권 전환 등 상쇄배출권 운영에 관한 세부지침의 필요성
○ 상쇄배출권에 대한 과세 및 이연처리에 대한 검토
-
dc.format.extent5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법제연구원-
dc.subject.classification환경-
dc.title배출권 거래제에서 상쇄배출권과 할당배출권에 관한 비교법제연구-
dc.title.alternativeComparative legislation study on allocations and offset in the ETS-
dc.typeResearch Report-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기령-
dc.contributor.localId2012048-
dc.identifier.localId61734-
dc.rights.accessRights원문무료이용-
dc.subject.keyword배출권거래제-
dc.subject.keyword할당배출권-
dc.subject.keyword상쇄배출권-
dc.subject.keyword상쇄크레딧-
dc.subject.keyword인증-
dc.subject.local배출권거래제도-
dc.subject.local기후변화-
dc.subject.local환경법-
dc.type.local기후변화법제 연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Kiryoung-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박기령-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3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범위 15


제2장 상쇄제도의 법적 근거와 거래구조 17
제1절 상쇄제도 운영의 법적 근거 17
제2절 외부사업의 인증 및 감축분 전환절차 28


제3장 상쇄배출권 운영에 관한 해외법제 비교분석 41
제1절 EU-ETS의 탄소상쇄 관련 규정 41
제2절 미국 RGGI의 Offsets 운영제도 42


제4장 상쇄배출권과 할당배출권의 비교 45
제1절 상쇄배출권의 본질과 법적 특성 45
제2절 상쇄배출권 운영의 핵심 쟁점 48


제5장 결 론 53


참고문헌 57
-
dc.relation.isPartOf기후변화법제 연구, 15-19-8-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